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법 총정리, 10% 할인받고 현명하게 쓰는 꿀팁

 


상생페이백 환급금,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알뜰하게 활용하는 법


상생페이백 환급금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되면서 처음 사용하는 분들이 “이거 어디서 쓰지?” 하고 고민하곤 합니다. 종이·카드·모바일로 나뉘던 온누리상품권이 이제 하나의 앱으로 통합되어 훨씬 간편해졌습니다. 설치부터 충전, 결제, 사용처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모든 것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1️⃣ 온누리상품권 앱 설치 및 회원가입

먼저 ‘디지털온누리’ 앱을 구글플레이나 앱스토어에서 설치합니다. 회원가입 시에는 본인 명의 휴대폰 인증 후 이름,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통신사, 거주지 입력만으로 간단히 완료됩니다. 6자리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바로 사용 준비가 끝납니다.


2️⃣ 계좌 및 카드 등록으로 충전 준비

상품권을 사용하려면 충전 계좌와 결제용 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구분등록 방법
충전 계좌    ‘충전 계좌 관리’ 메뉴에서 본인 명의 은행 계좌 연결 (ARS 인증 후 완료)
결제 카드9개 카드사(KB, BC, 농협, 롯데,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등록 가능

최대 10개까지 등록할 수 있으며, 모두 본인 명의여야 합니다.


3️⃣ 충전 시 10% 즉시 할인

‘충전하기’ 메뉴에서 원하는 금액을 입력하면 10% 할인된 금액으로 결제됩니다.
예를 들어 10만 원을 충전하면 실제로는 9만 원만 결제됩니다. 충전 후 7일 이내 미사용 금액은 앱 내 ‘이용내역’에서 취소 가능하지만, 그 이후에는 환불이 불가합니다.


4️⃣ 결제 방법 – 카드와 QR 두 가지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카드 결제와 QR 결제를 모두 지원합니다.

결제 방식사용 방법
카드 결제앱에 등록한 카드로 결제 시 상품권 충전금이 자동 우선 사용
QR·바코드 결제앱 메인에서 ‘QR 결제’ 선택 후 매장 QR 스캔 또는 내 QR 제시

단, 결제 금액이 충전금보다 큰 경우 병행 결제가 불가능하므로 잔액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전통시장 내 일부 매장은 QR 단말기가 없어 카드 등록 결제가 더 편리합니다.


5️⃣ 사용 가능한 매장과 업종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에서 대부분 사용 가능합니다.
음식점, 정육점, 반찬가게, 미용실, 병원, 학원, 세무사무소, 동물병원 등 생활밀착형 업종에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결제도 지원하며, 다음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G마켓·옥션 전통시장관, 우체국쇼핑, 온누리마켓, e-전통시장, 장봄, 먹깨비, 배달의명수, 땡겨요, 롯데ON 온누리스토어 등에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 백화점, 프랜차이즈 직영점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6️⃣ 가맹점 찾기 꿀팁

가맹점은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 내 ‘가맹점 검색’ 메뉴에서 지역별, 업종별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은 입구에 부착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스티커를 보면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7️⃣ 혜택 한눈에 보기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가장 큰 매력은 10% 충전 할인 + 소득공제 + 카드 혜택의 삼박자입니다.

항목혜택 내용
충전 할인충전 금액의 10% 즉시 할인
소득공제전통시장 결제 시 최대 40% 공제
카드 혜택카드 실적 및 포인트 적립 가능

예를 들어 10만 원을 충전할 때 9만 원만 결제하면 1만 원을 절약하고, 소득공제와 카드 포인트까지 받을 수 있는 셈입니다.


8️⃣ 현명하게 사용하는 팁

상생페이백 환급금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들어왔다면, 사용하지 않고 두기보다 실생활 속에서 바로 활용해 보세요. 전통시장 장보기, 동네 식당 결제, 온라인 전통시장관 쇼핑 등에서 쓸 수 있어 체감 절약 효과가 큽니다.


마무리 한 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단순한 결제 수단이 아니라, 지역 상권을 살리고 나의 지출을 줄이는 ‘생활형 절약 도구’입니다. 오늘 바로 앱을 설치해 10% 혜택과 함께 알뜰한 소비를 시작해 보세요.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